Page 44 - 한비21 (제9호) 2025년 1월 20일
P. 44

44        JAN.20. 2025
















































          ▲ 대한민국의 연령별 인구분포도




                   43 페이지에 이어                          집약적 서비스 부문에서 이민  소하여 우울한 전망, 고령화 사
                                                       노동자에 크게 의존하고 있는  회,  코로나바이러스  팬데믹의

          다. 진짜 문제는 인구의 절대 것과 같은 방식이다.                                                                 건강과 경제에 대한 지속적인

        적 수가 아니다.                                        중국 인구 위기에서 얻을 수  부정적 영향이 특징이었다. 행

          일론 머스크가 반복해 지적했 있는 중요한 교훈 중 하나는 피 운으로  여겨지고  전통적으로

        듯 오늘날 진짜 문제는 인구의  임에 대한 사고방식이, 특히 여 12년마다 출산이 급증하는 것
        급속한 고령화이다. 그는 "싱가 성들의 사고방식에 주입되면 깊 으로 해석되는 용의 해 아기는

        포르가 멸종할 것이다!"라고 트 이 자리 잡은 문화적 관행조차 작년에 중국에서는 어디에도 보

        윗하여,  비즈니스계를  충격에  도 더 이상 역전되지 않을 수  이지 않았다.

        빠뜨렸다. 7억 명이 넘는 인구,  있다는 것이다.                                                                     캘리포니아 대학교의 중국 인

        그 중 40-50%가 65세 이상이                              정부가 장려한 1자녀 정책이  구학 전문가인 왕펑은 중국의

        라고 상상해 보라. 사회 보장 시 30년 이상 지속되고 나중에 물 출산율을 개선하기 위한 강력

        스템은 시스템에 기여하는 젊은  질주의적 또는 소비주의적 라이 한 대항 세력인 광범위한 경제
        근로자가 너무 적어 붕괴될 것 프스타일로 강화되면서, 심지어  적 비관주의를 언급했다.

        이다.                                            어떤 상쇄 가능한 문화적 관행                                  정책 입안자들이 중국 여성의

          더 큰 문제는 노령 부모와 친 조차도 부부가 아이를 갖도록  출산을 장려할 수 있는 도구가

        척을 신체적으로 돌볼 수 있는  설득하는 데 효과가 없을 수 있 제한되어 있다는 것이 점점 더

        젊은 근로자가 매우 적다는 것 다.                                                                            분명해지고 있다.

        이다. 이와 관련하여 중국은 여                                이는 최근 2024년 초에 입증                               당국이 2016년에 1자녀 정책

        전히  인구적 배당금을 누리고  되었다. 중국의 용의 해는 역사 을 완화했을 때조차도 출산율

        있는 베트남, 인도네시아, 필리 적으로 중국과 동아시아의 다 은 매년 감소했고, 신생아 부모

        핀과 같은 국가로 눈을 돌리는  른 나라에서 출산이 급증하는  를 위한 인센티브 제도는 출산
        것 외에는 다른 대안이 없을 것 해로, 잠재적 부모가 자녀의 출 율을 높이는 데 크게 실패했다.

        이다.                                            생 시기를 길조의 별자리와 맞                                  필리핀 정책 입안자들에게 주

          일본, 싱가포르, 한국이 현재  추려고 노력했다.

        의료, 관광 및 기타 여전히 노동                               대신, 인구는 작년에 계속 감                                          45 페이지에 계속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