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1 - 한비21 (제19호) 2025년 7월 2일
P. 41
JULY. 2. 2025 | No.19 41
40 페이지에 이어
뱀장어 양식어가, 생산자단체
등)이 함께 처음으로 시행하는
행사이다.
우리나라 뱀장어 양식의 생
산액은 5,140억 원(2024년 기
준)으로 전체 내수면 어업의 약
74%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비
중이 매년 높아지고 있는 대표
내수면 업종이다.
뱀장어는 민물에서 서식하다
가 산란을 위해 바다로 내려가
는 대표적인 강하성 어류이다.
뱀장어 양식은 우리나라로 회
유하는 실뱀장어를 포획하거나
중국, 대만 등에서 수입한 실뱀
장어를 활용하고 있어, 해당 어
종은 지속적인 자원관리가 필
요하다.
필리핀 인근 심해에서 산란하
며, 부화한 실뱀장어는 다시 우
리나라, 중국, 일본 등지로 회유
한다.
최근에는 우리나라로 회유하 생산자협회가 개별 어가에 입식 뱀장어 양식 어가의 각종 현안
는 극동산 뱀장어의 국제 거래 할 물량을 매입하여 방류하는 도 논의해 나갈 예정이다.
를 제한하는 논의가 CITES(멸 것이다. 협의체에는 8개 광역지자체와
종위기에 천한 야생동식물종의 이번 방류 장소는 뱀장어 생장 국립수산과학원, 한국해양수산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 등 국제 최적지로, 국립수산과학원의 중 개발원, 한국수산자원공단, 민
기구에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 앙내수면 연구소가 주요 내수면 물 장어양식수협, 한국민물장어
어, 이에 대한 정책적 대응도 필 수계를 검토하여 선정하였다. 생산자협회 등 참여하고 있다.
요한 상황이다. 참여 지자체는 이를 바탕으로 강도형 해양수산부 장관은 “실
해양수산부는 중장기적으로 지역 어업인과 협업하여 방류를 뱀장어 방류사업을 계기로 자
우리나라로 회유하는 실뱀장어 추진할 계획이다. 원회복뿐만 아니라 우리 내수
자원량을 늘리고, 우리의 자원 한편, 해양수산부는 ▲실뱀장 면 어가의 소득 안정과 지역경
회복․관리 노력을 대내외적으로 어 자원 회복과 ▲뱀장어 수급 제 활성화를 기대한다”라며, “민
알리기 위해 전국적인 방류행사 조절, ▲CITES 등 국제 논의 대 관이 함께 자원회복 사업을 지
를 추진하게 되었다. 특히, 이번 응, ▲양식장 이식 관련 제도 개 속해서 추진하고, 하천 생태 복
행사는 민간 부문이 자발적으 선 등을 논의하기 위해 지난 6 원, 서식지 개선 등의 정책사업
로 참여한다는 점에서 더욱 의 월 5일 ‘실뱀장어 민관협의체’를 도 적극 추진해 나가겠다.“라고
미가 크다. 장성댐에 방류하는 발족하였다. 협의체를 통해 이 말했다.
물량 10만 미도 한국민물장어 번 방류행사를 추진하며, 향후 <출처:정책브리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