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1 - 한비21 (제6호) 2024년 12월 17일
P. 31
DEC. 17. 2024 31
29 페이지에 이어
다. 슬롯을 해외 항공사에 양
도할 경우, 통합항공사의 매출
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아시아나항공의 화물 부
문 매각 역시 우려가 존재한다.
인수 주체인 에어인천은 중·단
거리 위주의 아시아 노선만 운
항해왔기 때문에 장거리 노선
운영 및 글로벌 네트워크 확장
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통합항공사의 슬롯이 LCC
로 이전되면 LCC가 새로운 시
장 진출의 기회를 얻어 항공산
업 내 경쟁이 촉진되고 소비자
에게 더 다양한 선택권을 제공
할 가능성이 커질 수 있다. 예
컨대, 2013년 이루어진 미국
의 American Airlines와 US 존 대형항공사가 제공하던 서 럼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Airways의 기업결합 사례에 비스에 비해 품질 저하가 발생 통합도 우리나라 국적항공사의
서도 승인 조건으로 요구된 슬 할 가능성도 있다. 장거리 노선 경쟁력을 높이는 계기로 삼아
롯 매각으로 인해 Southwest 운영에는 기체 유지 보수와 항 야 할 것이다.
Airlines와 같은 LCC들이 특정 공 안전 관리 역량이 요구되기 한편, 항공사 통합으로 인한
공항에 진입할 수 있게 되어 경 때문에 안전과 운영 효율성 측 두 항공사 간 중복업무, 슬롯
쟁이 증가하고 소비자 선택의 면에서도 문제도 발생할 수 있 반납, 화물 부문 매각 등으로
폭이 넓어졌다고 평가된 바 있 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 인력 감축이나 조정이 추진될
다. 따라서 항공당국은 통합항 하여 외국의 대형항공사가 진 것이라는 노조의 우려가 있으
공사의 슬롯을 향후 여객 수요 입하도록 하여 통합항공사와 므로 이러한 우려를 해소할 구
증가가 예상되는 단·중거리 노 가격 및 서비스 경쟁을 통해 소 체적인 계획을 수립하고 조직
선에 대해 LCC에 적극적으로 비자의 편익을 증대시키는 방 문화를 융합하며 직원 간 갈등
배정하려는 노력이 필요해 보 안도 고려해볼 수 있겠다. 을 최소화함으로써 조직의 안
인다. 통합항공사 측면에서는 두 항 정성을 높여야 할 것이다.
다만, LCC는 일반적으로 단거 공사의 강점을 살리면서도 중
리나 중거리 노선에 최적화된 복 자원을 효율적으로 재배치 (2) 항공소비자 보호
비즈니스 모델을 갖추고 있어, 해 협력과 경쟁의 균형을 이루 통합항공사의 등장으로 국내
장거리 노선 운영에 필요한 대 는 것이 중요하다. 2000년대 초 의 대형항공사는 대한항공 하
형 항공기와 서비스 인프라가 반 미국과 유럽연합의 대형항 나만 남게 되어 사실상 독점
부족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공사들이 기업결합을 통해 규 체제가 된다.
또한 비용 절감을 위해 서비스 모의 경제를 실현하며 글로벌
수준을 낮추는 경우가 많아 기 시장에서 입지를 확대한 것처 33 페이지에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