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1 - 한비21 (제19호) 2025년 7월 2일
P. 31
JULY. 2. 2025 | No.19 31
30 페이지에 이어 다. 국인에게 필리핀어와 문화유산
필리핀 결혼 이주민들은 변화 을 가르치는 동시에 필리핀인
자들이 농촌에서부터 서울이나 의 주체가 되었으며, 많은 이들 배우자가 음식, 역사, 대화를 통
부산 같은 세계적인 도시에 이 이 고립에서 벗어나 영향력 있 해 문화 교류에 참여하도록 격
르기까지 한국에 거주하고 있 는 인물로 성장했고, 결혼 생활 려한다. 대사는 "우리는 가족들
는 것으로 추산된다. 이제 한국 의 경계를 넓히고 동아시아 국 이 자신의 정체성의 양면을 이
은 그들의 고향이다. 가의 가부장적, 가부장적 환경 해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
이들 대부분은 사랑이나 기회, 에 도전했다. 어 "이것은 가족 간의 유대감뿐
또는 단순히 새로운 삶을 위해 그중 한 명은 한국 국적을 취 만 아니라 지역 사회 내의 유대
바다를 건너온 여성들이며, 여 득하고 두 차례 국회의원을 지 감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
전히 다문화주의를 받아들이고 낸 재스민 리다. 그녀는 한국인 라고 덧붙였다.
있는 나라에서 문화, 정체성, 생 이 아닌 사람으로서는 최초로 CFO의 "You Lead"와 같은 프
존의 복잡성을 헤쳐나가야 한 선출된 공직자라는 역사를 썼 로그램은 필리핀계 한국인 청
다. 다. 캐서린 코르테사는 2024년 년들에게 필리핀을 방문하여
데 베가는 이것이 문자 그대로 서울특별시 명예시민으로 임명 뿌리를 찾고 미래를 위한 리더
지리적 경계뿐만 아니라 사회 되었으며, 현재 이태원 글로벌 십 기술을 키울 수 있는 기회를
적, 정서적 경계도 넘어서는 결 센터의 관장으로 활동하고 있 제공한다. 대사관은 또한 한국
혼이며, 문화 간 격차를 메우고, 다. 이 밖에도 아동 도서 작가 여성가족부, 다문화가족센터,
고정관념에 도전하며, 이주 여 인 네리사 앙헬레스, 지역 사회 이주민 지원 네트워크와 협력
성이 성공할 수 있는 공간을 만 조직자이자 옹호자인 베키 마 하여 필리핀인의 목소리가 소
들어내는 것이라고 말했다. 리노 킴과 같은 사람들은 한국 외되지 않도록 노력하고 있다.
이들 필리핀 여성 중 일부는 에 문화적, 시민적 유산을 남기 데 베가는 지속적인 개혁, 새
어려움을 극복하고 선구자가 되 고 있다. 로운 정책, 강력한 지역 사회 옹
었으며, 회복력, 기여, 조용한 리 데 베가는 이러한 선구적인 필 호자들의 도움으로 국경을 넘
더십을 통해 다문화주의의 의 리핀-한국인들이 단순히 생존 는 결혼이 숫자뿐만 아니라 힘
미를 형성했다. 자가 아니라 한국의 다문화적 과 존엄성 면에서도 성장할 수
미래를 형성하는 리더가 되었다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두 가지 현실의 이야기 고 지적했다. 국경과 도전을 넘어, 필리핀
많은 필리핀 결혼 이주민들은 결혼 이주민들의 이야기는 회복
인구 감소로 인해 한국 남성, 권한 부여를 위한 청사진 력과 지속되고, 재정의되고, 성
특히 농부들이 외국인 배우자 서울에 있는 필리핀 대사관은 장하는 사랑의 이야기이다. 그
를 찾게 된 농촌 지역에 정착한 CFO와 협력하여 "역량 강화 생 들은 서서히 자신들을 포용하
다. 태계"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는 법을 배우는 땅에 집을 짓는
한국인 남편들은 대개 고등 하고 있다. 다. (PNA)
학교 졸업자일 뿐인 반면, 필리 여기에는 결혼 이주민을 위한
핀 여성들은 대개 대학 학위를 출국 전 및 도착 후 오리엔테 한비21
가지고 와서 이러한 결혼 생활 이션 세미나, 권리 교육, 자녀와
에서 독특한 교육적, 문화적 격 한국인 배우자를 위한 문화 몰 광고문의
차가 있음을 보여준다. 하지만 입 프로그램이 포함된다. ad@hanbi21.net
회복력이 뛰어난 것으로 유명 대사관의 "Iskwelahan sa 기사제보/보도자료
한 필리핀 여성들은 이러한 어 Embahada(대사관 학교)" 이니 pr@hanbi21.net
려움을 내면의 힘으로 이겨낸 셔티브는 2세, 3세 필리핀-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