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1 - 한비21 (제21호) 2025년 9월 3일
P. 11

SEP. 3. 2025 | No.21       11











                                                           "선동은 문장 한 줄로도 가능하지만



                                                                             그것을 반박하려면



                                                           수십 장의 문서와 증거가 필요하다.


                                                            그리고 그것을 반박하려고 할 때면



                                                                사람들은 이미 선동당해 있다."






                                                                        필리핀에 대한 부정적·악의적 가짜 뉴스

                                                                               피해는 고스란히 거주 한인 몫








                                                       독점하던 것에서 벗어나 레거 혜가 필요한 세상이 되었다.
                   9 페이지에 이어
                                                       시 미디어가 관심을 갖지 않는  (4)

          청자나 독자는 그리 많지 않 다양한 사회적 이슈와 관심거                                                                이번 사건을 주는 교훈에 대

        다.                                             리를 뉴미디어가 다룬다는 점 해 살펴보자

          잘못된 보도로 인해 대상자가  이다. 또한 뉴미디어는 레거시  필리핀 치안당국과 대사관의

        피해를 입을 경우 우리나라의  미디어에 비해 뉴스통제와 관 공식 발표가 있었음에도 불구

        경우  언론중재위원회를  통해  련해 관제 영향력에서 어느정 하고, 본 기사가 작성되는 9월
        이를 중재받을 수 있다. 하지만  도 자유로울 수 있다.                                                                3일 까지 기사나 동영상을 내

        이 역시 언론보도로 피해를 입                                 가짜뉴스·악의적 뉴스 폐해                                리지 않고 있는 매체가 있다.

        은 피해자 측에서 문제제기와                                                                                  기사수정이나 정정을 아예 하

        더불어 별도 절차에 공을 들여                                             심각한 수준                            지 않고 방치하는 매체로는 ○

        야 한다.                                           누군가에겐 사소한 실수이고                                 에너지경제신문 (기사 본문은

          뉴스를  소비하는  시청자  및                                      장난일 수 있지만                             수정했으나,  독자제보라는  사

        독자의 '미디어 맹신 주의' 역시                                피해 보는 당사자 입장에선                               진설명에서는 여전히 한국인으
        주의해야 할 부분이다.                                     생사·생존권 걸린 문제 직결                               로 표기) ○ 위키트리 (기사 방

          과거 뉴스 생산 및 공급을 독                                                                             치) ○ 위키트리가 기사 출처로

        점하던 전통적인 레거시 미디                                  반면 단점은 뉴미디어의 경우  명시한 필리핀112 (동영상 그

        어가 현재는 통신 및 기술의 발 영세성, 비전문성 탓에 뉴스와  대로 방치) ○ TV조선 (여전히

        달로 SNS를 중심으로 활동하 정보의 질 하락, 왜곡, 편향 논 기사 열람 가능) ○ KTN(강원

        는 뉴미디어 (군소·1인 미디어  란에서 자유롭지 못한 문제도  종합뉴스)역시 동영상을 그대

        창작자)에 시장 점유율을 빼앗 있다.                                                                           로 방치 중에 있다.

        기고 있는 양상이다.                                      결국  신뢰성  있는  미디어를  인터넷에서 회자되는 말 중에

          레거시 미디어와 뉴미디어는  선택하고, 뉴스가 전하고자 하 "선동은 문장 한 줄로도 가능하
        경쟁 관계인 동시에 공생에서  는  의도,  뉴스  자체가  지니는  지만 그것을 반박하려면 수십

        생존전략을 찾아야 한다.                                  함의 등을 해석하는 것은 전적 장의 문서와 증거가 필요하다.

          장점으로는 그동안 레거시 미 으로 시청자 및 독자의 몫이 되                                                                        13 페이지에 계속

        디어가  뉴스  생산  및  공급을  었다. 뉴스소비에 있어서도 지
   6   7   8   9   10   11   12   13   14   15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