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5 - 한비21 (제20호) 2025년 7월 23일
P. 25

JULY. 23. 2025 | No.20     25









                [정책 보고서] 동남아시아 국가 중 관광으로부터



                            실질적인 이익을 얻는 국가는 어디인가



               관광 투자 책임 및 성과를 위한 새로운 프레임워크 '관광 수익률(RoTI) 소개'













































          ▲ 분석 대상인 동남아시아 6개국의 관광수익률(RoTI) 추산치를 보여주는 요약 표. 투자 추정치는 각국의 공공 지출 보고서, 예

        산 보고서, 인프라 프로그램 및 홍보 캠페인을 통해 도출되었다. 정확한 투자 수치를 알 수 없는 경우, 다년간의 국가 관광 계획, 보

        도 자료, 제3자 관광 개발 데이터를 바탕으로 추산치를 산출했다. RoTI는 수익 기반 비율이며 간접적 혜택(예: 일자리 창출, 승수

        효과)은 포함하지 않습니다. 간접적 혜택에 대한 부분은 글의 중간에 별도로 언급되어 있다.



          관광은 오랫동안 동남아시아  한다. 이를 통해 정부는 성과를  창출, 사회적 가치를 통해 창출

        전역의 주요 경제 동력이 되어  벤치마킹하고, 더욱 현명한 자 된 총 관광 가치를 정부 또는

        왔지만, 정책 입안자들은 종종  금 조달 결정을 내리고, 인프라  공공-민간 파트너십을 통해 관

        순수 관광객 수나 총수입에만  및 홍보 전략의 우선순위를 더 광 생태계에 투자한 금액과 비
        집중하며 공공 및 민간 부문 투 욱 효과적으로 정할 수 있다.                                                             교하는 지표이다.

        자의 효율성과 효과를 간과하                                  이 보고서는 인도네시아, 말레                               RoTI는 국제 관광객 수, 지출,

        는 경향이 있다.                                      이시아,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GDP 기여도와 같은 양적 요인

          본 정책 보고서는 관광 투자 베트남 등 동남아시아 주요 6개 과 브랜드 강점, 인프라 품질,

        로  국가가  얻는  실질적  수익(  국의 RoTI에 대한 상세한 비교  지속가능성,  사회문화적  영향

        금전적 측면과 질적 사회경제 분석을 제공하며, 특히 필리핀 과 같은 질적 변수를 모두 고려

        적 측면 모두)을 평가하는 강력 과 관련된 모범 사례와 정책적  한다.

        한 정책 프레임워크인 관광수 격차를 파악한다.                                                                       이러한  점에서  RoTI는  기존

        익률(RoTI) 을 소개한다.                                                                               관광 지표보다 더욱 포괄적이
          투자 자본 수익률(ROIC)과 시                             RoTI 이해: 전략적 관광 성과  고 전략적인 지표이다. RoTI가

        장 부가가치(MVA)와 같은 지표 지표                                                                          높은 국가는 반드시 관광객이

        에서 영감을 받은 RoTI는 투자  관광수익률(RoTI)은  본질적                                                                      27 페이지에 계속

        단위당 창출되는 가치를 측정 으로 수입, GDP 기여도, 고용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