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5 - 한비21 2025년 4월 11일 (제14호)
P. 25
APR.11. 2025 25
부상의 권리관계가 일치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C. 안정적인 금융 환경
주택담보대출 제도와 금융기관
의 담보 관리 체계가 발달해 있으
며, 이로 인해 투자 시 대출 활용이
용이합니다. 대출 금리, 상환 조건,
LTV(Loan To Value) 규제 등도 명확
하게 제시됩니다.
2) 필리핀 부동산 시장의 특징
A. 외국인 토지 소유 제한
필리핀은 헌법상 외국인의 토지 직
접 소유를 금지하고 있습니다. 외국
인은 오직 콘도미니엄 유닛에 한하
여 총 지분의 40% 한도 내에서만 소
유가 가능합니다.
B. 콘도미니엄 소유 규제
한 콘도 프로젝트 내에서 전체 유 콘도미니엄 구입 시, 관리 규정 드시 선행되어야 합니다.
닛의 40% 이상은 외국인이 소유할 (House Rules)과 관리비 납부 체계 4) 한국 투자자 입장에서의 기회와
수 없으며, 이를 초과할 경우 매수 등을 미리 확인해야 합니다. 관리비 전략
자체가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구입 체납이 심각하거나 관리 규정이 지 A. 필리핀 내 외국인 투자 증가에
전 반드시 '외국인 쿼터'를 확인해야 나치게 엄격한 경우, 향후 자산 가치 따른 시장 확장성
합니다. 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외국인 투자자 비중이 높아지고 있
C. 느린 법적 절차 C. 세금 및 비용 구조 사전 검토 으며, 특히 마닐라, 세부, 클락, 다바
등기 이전, 소유권 분쟁 해결 등 법 필리핀 부동산은 취득 시와 보유 오 등 핵심 지역은 고급 주거 수요
적 절차가 상당히 느리고 복잡할 수 중, 양도 시 모두 세금이 부과됩니다. 및 상업용 부동산 가치 상승이 지속
있습니다. 특히 지방에서는 서류 위 ○ 취득 시: Document a r y 될 것으로 보입니다.
조, 이중 매매 등의 리스크가 존재하 Stamp Tax(1.5%) ○ 보유 시: Real B. 중장기 투자 관점의 접근이 유효
므로, 반드시 철저한 사전 검토가 필 Property Tax(연간 1~2%) ○ 양도 필리핀 부동산은 단기 매매 차익보
요합니다. 시: Capital Gains Tax(6%) 다는 3년 이상 장기 보유를 통한 가
3) 필리핀 부동산 투자 시 주의사항 이 외에도 세금 신고 지연 시에는 치 상승을 기대하는 전략이 적합합
A. 타이틀(Title) 검증 필수 높은 이자 및 벌금이 부과될 수 있 니다.
필리핀 부동산 거래에서는 등 으므로, 투자 전에 정확한 세금 구조 C. 현지 전문 파트너와의 협력 필요성
기서류(Tit le)를 반드 시 변호 를 파악해야 합니다. 한국과 달리 법적 시스템 및 시장
사 또는 전문기관을 통해 진위 한국 부동산 시장은 명확한 등기제 정보가 복잡하고 비공식적인 요소
여부를 검증해야 합니다. 특히 도와 빠른 거래, 안정적 금융 인프라 가 많기 때문에, 반드시 신뢰할 수
TCT(Transfer Certificate of Title)나 를 갖춘 반면, 필리핀 부동산 시장은 있는 로컬 브로커, 법률 전문가, 회계
CCT(Condominium Certificate of 외국인 투자에 제한이 있으며, 법적· 사와의 협력이 성공적인 투자 성패
Title)에서 소유권 상태, 저당권 설정 행정적 절차가 느리고 복잡할 수 있 를 좌우하게 됩니다.
여부를 꼼꼼히 확인해야 합니다. 습니다. 따라서 필리핀 부동산에 투
B. HOA(Homeowners Association) 자할 경우, 타이틀 검증, 쿼터 확인, 다음호에 계속
규정과 관리비 체계 사전 점검 세금 및 관리비 체계 사전 점검이 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