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 - 한비21 (제13호) 2025년 3월 30일
P. 7

MAR.30. 2025          7






                     5 페이지에 이어
                                                       라고 확신한다. 수입은 그대로인  한 경제적 손실, 그리고 가장 심

        록 감시하고, 정책을 통해 규제 반면 물가는 올랐기 때문이다.  각한  문제인 극단적 증오와 폭

        하고, 피해자를 구제하는 것이  생활비와 교육비 대기에도 벅차 력이 난무하는 국론 분열을 야

        직무이다. '영혼없는 K행정'이라  니 저축, 해외여행, 노후준비 등 기시켰다.

        부르자!                                           은 사치가 된다.                                        필리핀 한인사회는 계엄 이후

          대한민국의 자살률은 2022년                               그래서인지 필리핀을 찾는 한 꿀 먹은 벙어리가 되어 버린 정
        기준 인구 10만 명당 19.1명으 국인 방문객은 코로나 이전 수 부(대사관)와 무엇을 상의해서

        로 OECD 평균(11.7명)보다 두  치를 거의 회복했지만 씀씀이 입장을 밝히겠다는 것인지 모

        배나 높으며 전 세계 1위 자리 는 예전만 못하다는 평이 많다.                                                            를 모호한 입장을 지금껏 견지

        를 고수하고 있다. 이것도 '절대                               예측불허 미국발 안보·경제 불 하고 있다. 법에 명시된 정치적

        불변 K자살률'이라 부르자!                                안, 중국의 노골적인 괴롭힘은  중립, 선거중립 입장을 지켜야

          복지 선진국은 근로 시간을 줄 필리핀 뿐 아니라 한국도 예외 하는 공무원들이 '중립'이외 무

        이며 삶의 질을 추구하는 방향 가 아니다. 지정학적 불안과 이 슨 말을 할 수 있겠는가?
        으로 사회적 합의와 정책이 추 점의 경계에 마땅히 있어야 할                                                               한인사회 구성원은 탄핵 찬성

        진되고 있음에도, 우리는 손주 K외교는 '전략적 모호'가 아닌 ' 이든, 반대 입장이든 각자의 생

        들 재롱 보면서 편안한 노후를  그냥 모호함' 그 자체로 보인다.  각과 입장은 존재할 것이고, 이

        보내야 할 노년층이 정년 연장                                                                               를 드러내지 않는 것이 모두를

        해가며 일하고, 박스나 주우러                                  한·필 양국 쌍탄핵 앞둔 필리 위한 현명한 처신이라는 주장

        다니라며 거리로 내몰린다. 이 핀 한인사회                                                                        엔 동의하기 힘들다.

        것도 '죽을때까지 일해야 하는                                 필리핀 한인사회는 본국의 탄                                해묵은 좌우 이념논쟁의 망령

        K노후'라 부르자!                                     핵에 이어 필리핀 정계의 탄핵  이 21세기 대한민국의 거리를

          연일 수 십 조원 규모 수주라 논란까지 두 번의 파고를 넘어 활개치고 있다. 의견의 다름을
        며 미디어를 장식하는 자랑스러 야 한다.                                                                         인정않고 물리적 강압에 기대

        운 'K방산'이나 'K조선업'의 위                              필리핀은 5월 전국 지방선거를  어 비상계엄 사태와 법원 점거

        상 보도 뒤에는 '죽음을 파는  앞두고, 두테르테 전 대통령의  폭동, 총기사용 거론 등의 사태

        상인', '4~5 하청 근로자들의 피 ICC행과 사라 두테르테 부통령  가 발생한 것이다.

        와 땀, 생명을 착취하는 진실은  탄핵 재판 일정 등으로 신구 권                                                            의견의 다름은 '옳고 그름'의

        애써 외면하고 있다.                                    력 지지층 간 국론이 분열된 양 문제가 아니다. 상호 존중하며

          각  분야의  일자리를  로봇과  상을 보이고 있다.                                                                대화로 문제를 풀어나가는 성
        AI가 빠르게 잠식해 나갈 것임                                대사관 공지대로 이 땅에서 우 숙한 민주주의의 가치를 우리는

        에도, 정부는 '입금 따먹기' 목적 리는 외국인 신분이기에 필리핀  배워야 한다. 이를 부정하는 이

        의 저임금 외국인 근로자 도입  정치 관련 언행에 신중을 기해 들은 민주주의를 논할 자격이

        정책만 연일 만지작거리고 있다.  야 한다.                                                                       없다.

        이것도 '임금따먹기 올인 K노동                                그렇다면 본국 정치에 대한 평                               입장이 없는 것과 입장은 있지

        정책'이라 부르자!                                     가는 어떠한가? 어느 국가나 여 만 의도적으로 밝히지 않는 것

          우리 경제의 허리라 할 수 있 야의 정쟁은 일상이다. 그렇다 은 '무심(無心)'이자 '외면'이다.

        는 중산층(소득 상위 40∼60% 고 모든 국가들이 계엄령을 선                                                             만일 무심과 외면이 최선이자

        에 해당하는 3분위 가구)이 지 포하는 아니다. 대통령 주장대 최고의 시대정신이었다면, 헌법
        출 할 수 있는 여윳돈이 작년 4 로 계엄선포는 법으로 보장된  에 3.1운동, 4.19 의거의 정신은

        분기 기준 월 평균 65만 8천원 통치권자의 정당한 통치 행위라  수록되지 않았을 것이다.

        에 불과하다. 2025년 1분기 통 할지라도 결과적으로 정치적 불                                                                   <한비21 전재종 편집인>

        계는 분명 이보다 더 낮을 것이 안, 행정 공백, 국격 하락, 막대
   2   3   4   5   6   7   8   9   10   11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