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1 - 한비21 (제21호) 2025년 9월 3일
P. 21

SEP. 3. 2025 | No.21      21








                                                       종 생활서비스의 현지화 및 경 장을 갖추고, 이원화 된 영업시
                    19 페이지에 이어
                                                       쟁력  확보가  '더  이상  선택이  이점이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스 관련 업종의 경우에는 대대 아닌 필수'라 판단되는 부분이

        적인 사업구도 개편이나 전환 다.                                                                               한국인, 필리핀 방문 및 거주

        이 불가피해 보인다. 공격적인  역으로 한국 내 필리핀 정주 인구 감소 배경은?

        마케팅, 사업 다각화 외에도 과 인구 및 방문객의 증가는 새로                                                               지난호에도 한번 다루었지만
        감한 업종 전환 등도 고려해 볼  운 비즈니스 기회가 열린다는  한 때 200만명을 헤아리던 한

        수도 있다.                                         신호탄이  될  수  있다.  이들을  인 방문객이 1/4가량 줄었다.

          필리핀에서 성공한 한인 기업 위한 송금이나 물류, 여행, 한 이들은 왜 필리핀을 기피할까?

        가들을 보면, 한인 대상 비즈니 국어 교습, 법률 등의 서비스나  이에 대한 다양한 분석과 의

        스에만 국한하지 않고, 로컬시 사업 등에서 새로운 기회를 모 견이 있지만 ○ 치안 ○ 물가

        장을 적극적으로 공략해 성공 색해 볼 수 있을 것으로 전망  문제를 주요 요인으로 꼽는 이

        한 경우가 많다. 마트, 식당, 각 된다. 한필 양국 모두에 사업 들이 많다.
                                                                                                         치안과 물가는 정주 및 관광

                                                                                                       목적지 결정에 있어 큰 비중을

                                                                                                       차지한다. 필리핀은 주요 경쟁

                                                                                                       국인 베트남이나 태국에 비해

                                                                                                       호텔숙박 요금, 골프장 이용료,

                                                                                                       음식값, 교통비 등이 2배~3배

                                                                                                       가량 비싼 수준이다.

                                                                                                         NCR의 일부 지역 음식 가격

                                                                                                       은 이미 한국과 대등하거나 아
                                                                                                       예  한국  수준을  넘어선  곳도

                                                                                                       존재한다. 즐기러 가는 여행에

                                                                                                       서 가치가 있다면 관광객들은

                                                                                                       그에 상응하는 비용을 치룰 것

                                                                                                       이다. 하지만 불안한 치안은 어

                                                                                                       떠한 해명을 늘어놓아도 한번

                                                                                                       돌아선 관광객의 마음을 되돌
                                                                                                       리기에 충분하지 못하다.

                                                                                                         필리핀 정부와 한인사회는 치

                                                                                                       안과 물가문제에 있어 방문객

                                                                                                       들이 체감할 수 있는 해결책을

                                                                                                       제시해야 한다. 그렇지 않고는

                                                                                                       제아무리 많은 관광 홍보예산

                                                                                                       투입, 캠페인에 지극정성을 다

                                                                                                       해도 공염불이 될 수 밖에 없

                                                                                                       을 것이다.
                                                                                                                           <전재종 기자>




                                                                                                                   한비21광고문의

                                                                                                                   카톡ID : Timi11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