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5 - 한비21 (제13호) 2025년 3월 30일
P. 25

MAR.30. 2025        25







               메랄코, 한국전력공사(KEPCO)와 에너지 혁신을 위한 MOU 체결







          마닐라 전력회사는 한국전력공

        사(KEPCO)와 필리핀 에너지 부문

        의 혁신을 촉진하기 위한 양해각
        서(MOU)에 서명했다고 발표했다.

          양해각서(MOU)는 원자력, 재생

        에너지, 스마트 그리드, 마이크로

        그리드, 에너지 저장 시스템, 전기

        자동차, 첨단 계측 인프라, 스마트

        변전소, 배전 자동화 분야에서 필

        리핀과 한국 전력 회사 간의 기술
        협력과 교류 프로그램을 심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서는 KEPCO와 Meralco 모두에게  용을 발전시키기 위한 지식 데이

          두 회사는 또한 교육 프로그램과  중요한 단계를 의미합니다. 여기에 터 네트워크에 대한 MOU를 체결

        직원 교환을 통해 기술 개발에 노 는 지식을 교환하고, 역량을 강화 했다.

        력할 것이다. 그들은 컨설팅, 자문  하고, 더 스마트하고 회복력 있는                                                          Meralco는 KEPCO와의 파트너

        서비스 및 상호 이익이 있는 다른  에너지 미래를 위해 함께 노력하 십을 통해 회사가 800만 명 이상

        에너지 프로젝트에서 파트너십을  겠다는 약속이 담겨 있다."고 말했 의 고객에게 24시간 연중무휴 전

        모색할 것이다.                                       다.                                              력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도움이

          Meralco 회장 겸 최고경영자인                            2024년  11월에는  Meralco와  될 것이라고 말했다.
        Manuel Pangilinan은 "이 양해각 KEPCO가 국내 스마트 미터링 활                                                                                      (PNA)




                    23 페이지에 이어                         (한국국제학교 포함)와 10개 세종학당(문 인식도 있었음. 그리고 한글학교는 주

            을 함.                                       화원 포함, 2개 학당오픈 준비중)이 있다.  말에만 개설되어 학습에 어려움이 있

            주재국 공교육 지원의 경우 필리핀은  2024년 4월 기준으로 필리핀한국국제학 다는 지적도 있음 (물론 온라인 과정도

          2017년부터 공립 (시립, 주립) 고교에 교는 유 31명 (2개 학급), 초 74명 (6개  있지만 이 역시 홍보가 제대로 이루어

          서 제2외국어로 한국어를 채택해 가르 학급), 중 36명 (3개 학급), 고 51명 (3개  지지 않고 있음).

          치고 있음. 2019년 기준 18개교에서 1 학급)해서 192명 (14개 학급)이 있으며,                                            세종학당의 경우에도 NCR에 집중

          천 376명이 한국어를 제2외국어로 수 전임교원은 33명으로, 전임교원 1인 대비  (문화원 외 2개 학당 오픈 준비중)되어,
          학했으며, 2023년 재외공관·교육원 제 학생수는 5.8명이다.                                                         거주 인구가 많은 센트럴 루손이나 칼

          출 자료를 보면, 한국어를 제2외국어로                          ■ 2024년 한필가족협회 자체 조사에  람바존에 거주하는 교육 실수요자들

          배우는 필리핀 학교는 50개교임.                           따르면, 필리핀 내 다문화 가정 자녀 (유 의 접근성이 떨어짐.

            한국어 보급 및 교육 측면에서 재외 치원, 초등학생 자녀)의 경우 99% 이상                                                 해외 교민 자녀에 대한 한글교육은

          국민과 주재국 국민을 상대로 1)직접  이 로컬 학교에에 다니고 있음.                                                     문화체육관광부, 외교부, 교육부의 3개

          교육 2) 한글학교 교육활동 지원 3) 한                        한국 국제학교나 한글학교에 자녀를 보 부처가 서로 중복된 명분을 가지고 사

          국어 능력 시험 관장 (한국어능력시험 내지 않는 이유는 ○ 거주지와 원거리에  업, 예산, 인력 파견을 하고 있음. 재외

          은 고용노동부 EPS가 진행하는 TOPIK 있고 ○ 신입생 모집 활동 홍보 역시 활 동포청이 많은 관심과 지원을 하고 있

          과는 또 다른 한국어 시험임) 4) 주재 발하지 않아 모르고 지나치는 경우가 많 지만 하위 소속 기관이라 컨트롤 타워
          국 공교육 지원 등의 역할을 함.                           으며 ○ 커리큘럼 상이로 상급학교 진학 로써 제대로 된 영향력을 발휘하지 못

            ■ 현재 필리핀에는 14개 한글학교 시 애로점이 있으며 ○ 학비가 비싸다는  하고 있는 실정임.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