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9 - 한비21 (제7호) 2024년 12월 31일
P. 19
DEC. 31. 2024 19
17 페이지에 이어
부족 및 경쟁국가 대비 숙박, 교
통, 식사 비용등이 상대적으로
약한 경쟁력 탓으로 지난 6월 7
월의 경우 전년대비 방문객 증
가율은 -6.5(6월), -7%(7월)를
기록하였으며 9월에도 뚜렷한
증가세를 보이지 못하였다.
경제적 관점에서 부정적 영향
최근 몇 년간 한국의 수출이
비교적 빠르게 회복되고 있지
만, 한국 내수 회복이 지연되고 의 누적 효과가 단계적으로 본 최근 수출 회복으로 인한 내
있으며, 내수에 대한 수출의 모 격화되기 시작할 것이며, 수출 수 긍정적 파급 효과가 본격화
멘텀이 느리게 적용되고 있다. 이 다소 회복세를 보이기 시작 되고 있어 향후 통화 긴축 기조
2022년 4분기에 크게 감소했 했지만 지금까지 국내 수요 위 가 반전되면 내수 회복이 점진
던 수출은 2023년 하반기부터 축이 심화되었다. 2024년에는 적으로 가시화될 수 있을 것으
반도체를 중심으로 회복되고 국내 수요 위축 정도가 완화될 로 예상한다. 최근 2023년 상
있지만, 2023년 2분기 이후 둔 것으로 예상되지만 4분기까지 반기 수출 부진의 부정적 영향
화된 내수 회복은 아직 완전히 는 충분한 회복을 보기 쉽지 않 이 사라지고 2023년 하반기 이
가시화되지 않았다. 을 것으로 추산된다. 2024년 중 후의 상승 추세가 내수에 반영
한국의 수출 회복은 소득 증 수출이 예상보다 빠르게 회복 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다
가를 통해 내수에 긍정적인 영 되거나 금리가 인하될 경우 내 만 2024년 하반기에 정책금리
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지만, 수가 다소 빠르게 회복될 가능 를 인하하더라도 국내 수요로
최근 한국 내수 회복이 지연되 성이 있다. 의 통화정책 효과 스핀 오버에
는 주된 이유는 높은 금리의 영 이러한 다양한 요소들이 작용 상당한 지연이 되고 있어 본격
향 때문이다. 고금리 기조 지속 하여 필리핀 내 한국인 관광객 적인 영향은 2024년보다 2025
은 기업 투자와 가계 소비를 위 들의 1인당 관광 지출이 전년 년에 관광 시장에 긍정적인 영
축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가 대비 감소하였다. 환율 및 고금 향을 줄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
계의 저축 인센티브를 높이며 리 문제 그리고 한국내 정치적 된다.
현재 소비 감소를 초래한다. 인 불안 요소등이 더해져 많은
금리 조정을 통한 통화 정책 기업들이 투자에 위축되므로써 한국인 해외 여행 트렌드 변화
은 복잡한 경로를 통해 실물 경 한국인들이 해외 여행에서의 여행 콘텐츠에 대한 관심 감
제에 영향을 미치므로 국내 수 개인 지출을 줄이게 되고 이러 소, 비용 민감성 감소, 볼거리와
요로의 본격적인 파급 효과가 한 현상으로 인하여 한국인 관 놀이 활동 감소, 음식에 대한
약간 지연되고 파급 효과는 상 광객들은 비용이 더욱 자렴한 관심 증가.
당 기간 지속된다. 2023년 상반 필리핀 경쟁국인 베트남과 태 여행의 조건이 콘텐츠보다 더
기 수출 부진은 최근까지 국내 국, 일본등으로 더욱 편중될것 욱 중요해졌고, 무엇을 할 것인
수요 각 부문에 어느 정도 영향 으로 예상된다. 가보다 어떻게 갈 것인가가 더
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
2023년 하반기에는 금리 인상 긍정적 의미 21 페이지에 계속